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 장 지글러 / 유영미 역 ▪ Books


이웃 블로거 여름님께서 의외의 장소 의외의 상황에서 선물로 주신 책입니다. 선물받은 책이나 음반은 집중해서 첩취하지 못하는 발칙한 습성이 있는 인간인지라 받는 것 자체가 송구스럽고 부담이 되었는데 정말 집중해서 잘 읽었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저자 장 지글러는 학자로서 전 세계적 기아에 대해 연구하는 사람이며, 활동가로서 기아의 현장에서 뛰는 사람입니다. 이론과 현장 양면에서 풍부한 경험을 가진 저자가 문제의 핵심을 정확히 짚어준다는 것이 이 책의 미덕이라 하겠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굶주리고 있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다는 사실은 대부분 사람들이 잘 알고 있지만 그 규모가 얼마나 되고 얼마나 심각한 지경인지, 그리고 도대체 왜 그런지 기아의 역사나 메커니즘에 대해 정확히 알고있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자연재해 때문인가? 하고 막연히 추측만 할 뿐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그 문제에 대한 반응도 미온적일 수 밖에 없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기근 등의 자연재해나 전쟁에 의한 기아는 그 상황만 면한다면 해결될 긴급 상황입니다만, 더 무서운 굶주림은 사회 구조적으로 발생하는 기아 혹은 정치 경제적인 이유로 조장되는 기아입니다.
몇 초에 몇 명이 기아로 사망한다든지 영양 부족으로 실명을 한다든지 하는 캠페인은 너무나 많이 접해 익숙할 지 몰라도 지구상에서 일년간 생산되는 식량의 양이 전 지구인의 두 배인 120억 인구가 배불리 먹을 수 있는 양이라든지, 선진국 농장의 소들이 전 세계 옥수수 생산량의 1/4를 잡수신다든지 하는 구조적 언발란스에 대해서는 잘 모릅니다. 저자는 왜 그러한 구조적 문제가 생겨났고 그 구조적 문제를 극복하려는 시도들과 그 개혁적 시도를 방해하는 또 다른 시도들에 대해 구체적인 예로 설명을 해주고 있습니다. 또한 각종 국제 기구들에 의해 기아 구제가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는지, 또 그 한계는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현장 경험을 통한 예들로 잘 설명해줍니다.

구조적(정치적) 문제에 관한 것은 지금 우리가 살고있는 대한민국의 상황에도 대입하여 볼수 있는데, 그 골자가 "자유 경쟁"이라는 점에서 그러합니다. 기아가 발생하는 것도, 그것을 구제하는 것에 한계가 있는 것도 자유경쟁과 자연도태라는 큰 틀에서 상황을 받아들이기 때문이라는 것이지요. 15-9세기에는 성경을 인용하며 흑인 노예들을 부리던 세상이, 이제는 진화론의 적자생존/자연도태를 들먹이며 굶어 죽어가는 사람들을 방치하거나 적극적으로 기아를 조장하다는 것이 참으로 아이러니합니다.

이런-세상의 구조적 문제를 비판하는- 종류의 책을 읽으면 느끼게 되는 감정 중 하나가, 내가 어찌할 수 없는 거대한 벽 앞에 서있다는 느낌입니다. 내가 어찌한다고 그 권력과 자본의 벽이 무너질리 만무하다는 거지요. 그렇지만 또 한가지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할 수 있는 일들이 있고 또 그런 일들이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희망 또한 그 벽 틈바구니에 존재합니다. 

이 책의 또 한가지 미덕은 책의 저술 방식인데, 저자와 저자의 어린 아들과의 대화 형식으로 표현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이해하기가 아주 쉽고 술술 읽혀집니다. 오히려 서문, 에필로그, 후기, 그리고 한국어판에만 실려있는 신자유주의에 관한 부록 부분이 상대적으로 딱딱한 형식이라 읽기 힘드네요...-.-;

이리저리 추천하고 돌려봐야 할 책이라 생각합니다. 좋은 책 선물주신 여름님께 다시 한 번 감사!





덧글

  • CelloFan 2010/04/17 00:33 # 답글

    작년에 이 책을 읽고나서, 장 지글러의 다른 책 두권 '탐욕의 시대' 와 '빼앗긴 대지의 꿈'을 샀는데요. 아직 두권을 시작 못하고 있네요. 이런 기아문제를 인식도 못하는 절대 다수의 대중이 존재하는 사회속에서 한사람씩이라도 진실에 눈을 가리지 않게 된다면, 작은 희망의 불씨가 언젠가 횃불이 되는 날이 올지도 모르겠네요.
  • bonjo 2010/04/17 13:15 #

    무지가 죄는 아닌데, 부지불식간에 악을 지지하게 되는 것 같아.
  • 여름 2010/04/17 10:44 # 답글

    쉽게 잘 읽어진 책이었습니다.
    그래24와 알라씬 두군데를 이용하면서 발생한 중복 주문의 문제로 인한 책보시이니 부담없으시길..
  • bonjo 2010/04/17 13:15 #

    감사해요 ^^
  • 그라피 2010/04/18 01:36 # 삭제 답글

    본조님 혹시 예전에 갖고 있으시던 ud1인가 스타일 오디오에서 만든 그거 있으세요? 스타일 오디오 루비를 사셨다는 이야기를 들었던것도 같은데 카렌이 샀던가 ;;;암튼..
  • bonjo 2010/04/18 20:21 #

    UD1 잘 쓰고있죠~ 근데 왜요?
  • 그라피 2010/04/19 22:26 # 삭제 답글

    아..여긴 스피커로 음악 듣기엔 좀 무리가 있고요 왜냐하면 쉐어생이 살고 있어 - -;;그래서 헤드폰으로 음악 들으려고 하는데 여긴 전압이 안맞아서..250-240V입니다 ; 그리하여 전압이 필요 없는 즉 usb로 전압을 사용하는 암튼...아 이거 글이 영작 하는 것 처럼 글을 쓰고 있 ;;;
    그래서 예전에 루비 사셨다는 이야기를 들은것 같은데 암튼 그래서 물어 봤어요 ㅎㅎ ;;
  • bonjo 2010/04/19 23:46 #

    아항. 제 기억이 맞으면 스타일 오디오 제품중 UD1만 UBS 전원일 거예요. 다른 제품들은 아답터로 별도 전원 들어가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공수 필요하시면 말씀하삼. 심부름 해드릴께연.
  • 그라피 2010/04/20 22:06 # 삭제 답글

    지금 usb 로 작동하는 ud1스타일이 단종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번 기회에 DAC업글 하시져 - -;;
    사운드카드 직결하니 죽겠음다 ;; 음향기기의 지옥 시드니에서 ;;
  • bonjo 2010/04/20 23:02 #

    으잉? 단종됐어요? -.-;;;;;;;
  • bonjo 2010/04/20 23:17 #

    UD1 진짜 단종됐나봐요;;;;
    그런데 HD1 찾아보니 USB 전원 된답니다 외부전원은 옵션이래요.
    HD1을 저한테 배송시키시면 UD1을 보내드릴께요.(읭?)
  • 그라피 2010/04/21 00:00 # 삭제 답글

    JAVS가 보유한 중급형의 DAC 제품군을 볼 때 NANO/S 요 모델이 사용하기 참 괜찮은 모델인듯 합니다 8개월 만에 한국에 정말 많은 제품들이 개발 되었네요 외국이 음악 매니아 들이 많아서 DAC류이 기기가 훨씬 더 발달 했겠다 생각했는데..여기 애들은 아이폿에 이어폰 그냥 끝입니다 ;;;
    나노 요거로 구입해 봐야 겠습니다 그런데 아직도 hd1이 나오나 보네요
  • bonjo 2010/04/21 00:29 #

    호- 저런 제품도 있군요. 근데 가격에 비해 좀 부실해 보이는;;;
  • 그라피 2010/04/22 10:32 # 삭제 답글

    ud1v가 이어폰 단이 부실 하다는 이야기가 있던데 음 이 제품은 헤드폰 앰프로 만든건데 헤드폰단이 부실 하다면 이걸 대체 어케 이해를 해야 할지 ;;볼륨도 있고 좋긴 한데 볼륨이란게 사실 저항 역활을 하기 때문에 그리 신뢰는 안가지만 볼륨의 저항을 귀로 인지 할 정도면 이것도 사실 소머즈 귀일테고 오디오제품이 가격대로 조금씩 소리 튜닝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어느 한도에선 그렇게 큰 차이가 있지는 안다는건 알만한 사람은 다 알테고 사실 헤드폰을 아이폿에 직결 할 때 나오는 그 노말한 소리가 헤드폰을 테스트 하기엔 가장 좋은듯하고 스피커야 워낙 변수가 많은 제품이기에 진짜 자연스런 소리란게 결국 자기 귀와 가슴을 만족 시키면 되는거라고 생각합니다 -이걸 영작해주삼 - -;;
  • bonjo 2010/04/24 18:56 #

    스타일 오디오가 헤드폰 앰프는 아니고요 DAC 개념이예요. 저도 가뭄에 콩나듯 헤드폰을 씁니다;
    헤드폰 단자는 확실히 문제가 있는 것이 파워 들어간 상태에서 헤드폰 꼽다가 가끔 쇼트가 나는데 그러면 사운드가 먹통이 되어버립니다...-.-;;
  • 그라피 2010/04/22 10:37 # 삭제 답글

    음 그라하야 서울에 있는 예전에 본조님이 주신 휴대용 이어폰 앰프를 공수를 하려고 생각합니다.
    배터리의 압박이 있지만 서울에서 사온 배터리가 10개정도 남았기에...여긴 배터리가 1개에 1불 정도 합니다 조낸 비쌉 ;;스피커를 로지텍으로 샀는데 이넘아가 커텐을 몇겹을 치고 출시를 한건지 커텐도 이스라엘 성전에 쳐놓은 그 두께라는 ;; 암튼 usb로 앰프를 구하려면 정말 선택사항이 몇개 안되는군요. next monday 는 여기 국군의 날이라 쉽니다 으하하..좀있으면 여왕 생일이라고 쉴텐데...한국엔 M씨 생일날 안쉽니까? -- ;;
  • bonjo 2010/04/24 18:57 #

    그거 베터리 소모가 상당하지 않았나요...-.-;; 하여튼 공산품은 무쟈게 비싸군요.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