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의 이름 작가노트 - 움베르토 에코 / 이윤기 역 ▪ Books


고등학생 혹은 대학 초년생 때 [장미의 이름]을 비디오로 보고 1차 충격, 이후 책으로 보며 2차 충격을 받은 후 움베르토 에코의 팬(비록 수준미달의 팬일지라도)이 되어버렸습니다. 이후 [푸코의 추]에 수차례 좌절하며 정말 어렵다고 생각하면서도 책이나 작가 탓을 해본 적이 없었을 정도로 [장미의 이름]에서 경험한 움베르토 에코의 지적 파워는 압도적이었습니다. [장미의 이름 창작노트]라는 책이 2002년에 출판되었습니다만 그 사실을 안 것은 이미 절판된지 오래 지난 후였습니다. 그랬던 책이 움베르토 에코 마니아 콜랙션의 이름으로 재출판 되었네요. 제목도 [장미의 이름 작가노트]로 바꾸어 달았습니다.

이 작가노트는 '소설가는 자기 글을 해설하면 안된다'는 전제를 갖고 시작합니다. 이 책은 [장미의 이름]이라는 복잡하고 방대한 지식더미를 해설하는 책이 아니라 어떤 식으로 창작을 했는지 '창작 과정을 해설'한 책입니다. 독자의 권리를 생각한다면 확실히 이쪽이 이야기의 해석보다 더 유의미합니다. 이야기의 발상, 조사, 구성, 파일링, 캐릭터 설정, 제목을 붙이는 것 부터 배경이 된 수도원의 역사적 지리적 배경, 수도원 건물들의 거리나 건물 내부 각 층의 계단 수와 환풍구 설정까지, 편집증적인 치밀한 계산이 담겨져 있습니다. 이러한 이야기의 내적 설정 외에도 독자의 심리, 독자와 작가의 관계, 포스트 모더니즘의 시대적 의미와 그 위에서 자신이 저술할 표현의 형식까지, 만물박사 움베르토 에코의 오지랍은 끝이 없습니다. '머릿속에서 이야기가 샘솟는' 식의 작법과는 완전히 반대편 우주에 서있는 듯 합니다. 이 책을 읽을수록 소설 [장미의 이름]이 왜 그토록 재미있으면서도 얕볼 틈이 없이 치밀하기까지 납득이 갑니다.

분량은 100 페이지를 간신히 넘는 소책자로 페이지를 불리기 위해 [장미의 이름]에 인용된 중세 예술품들의 사진들이 실린 페이지는 단면인쇄가 되어있는 정도입니다. 책을 근수 달아 파는 것은 아니라 해도 100 페이지 짜리 책이 9,000원이나 한다는 게 좀 과하게도 보입니다만 1등급 한우 꽃등심의 밀도를 가진 책이라면 납득이 가는 가격이기도 합니다. [장미의 이름]을 읽어보셨거나 읽어볼 생각이 있는 분들께는 필독서라고 하고 싶네요.





덧글

  • wolfrain 2010/03/18 00:12 # 답글

    에코 매니아 콜렉션 자체가 이전에 나온 저작물을 좀 합치고 재편하고, 안나온글 다 포함해서 만든거 같은데. 개인적으로 가격만 빼면 괜찮게 나온거 같습니다만, 다 사면 30만원이 넘더군요.ㄷㄷㄷ 그래도 에코니까 사는거지만.
  • bonjo 2010/03/18 00:19 #

    절판된 책들을 포함해 전집이 나온다는 소식에 너무나 기뻤으나! 가격에 허거덕 했습니다. ^^;;;
    일단 안읽은 책들을 우선으로 한 권씩 사고 있습니다. 디자인이나 제본상태가 너무 마음에 들어서 읽었던 책들도 마지막에 구입해서 놓으려고요. 부디 다 모으기 전까지 절판되는 일만 없기를 바랄 뿐입니다...-.-;;;
  • 음반수집가 2010/03/18 00:51 # 답글

    장미의 이름, 그 충격과 전율 여전합니다.
    작가노트, 아무리 아니라고 해도 말씀 들으니 너무 땡기네요.
    꼭 읽어보렵니다.
  • bonjo 2010/03/18 09:24 #

    양이 적어서 좀 썰렁한 것 말고는 아주 충실감 있는 독서였어요. ^^
  • 荊軻 2010/03/18 01:40 # 삭제 답글

    개인적으로 저런 치밀함을 좋아합니다. 아무리 따라해보려고 해도 대충대충이라는 게으름이 그런 과정을 막아버린달까요...
  • bonjo 2010/03/18 09:25 #

    게으름이 아니라 에코 할베의 저런 작법이 아주 특별한 것이라 생각해...-.-;;;;
  • CelloFan 2010/03/18 08:29 # 답글

    에코 슨상님은 이미 저 너머 우주 멀리에 계신 분이라, 그저 내주시는 책들을 감사히 읽고 있습니다. 저같은 둔재들은 그 깊은 의미를 제대로 알아차리지도 못하면서도, 이야기의 매력과 지적인 향기가 더해진 에코 슨상님의 장미의 이름을 사랑하지 않을 수 없네요. 대학 새내기때, 에코 슨상님을 알게 되고 나서, 저도 오지랍이 넓은 사람이 되어야 겠다고 생각했었지요. 진정한 현재의 르네상스맨 중 한명이 아닐까 싶어요. 강추강추!
  • bonjo 2010/03/18 09:28 #

    학술적인 글에 대해서는 독자의 평에 코멘트를 하겠지만 소설에 대해서는 어떤 평이라도 독자의 권리로 생각하신다니 미욱한 독자로서는 그저 감사할 뿐;;;;;
  • 여름 2010/03/18 23:57 # 답글

    하나씩 모으고, 하나씩 추스리면서 그렇게 하시는군요.
    EP가 LP보다 좋을 수도 있죠.
    아니다.100페이지라면 싱글B사이드로 볼 수 있을까요?
  • bonjo 2010/03/19 09:36 #

    책 뒤에 찾아보니 이게 원래 다른 책(잡지인 듯)에 기고된 글이고, 이탈리아에서는 소설 [장미의 이름]에 합본으로 출판된 것이라고 합니다. 대한민국에서 움베르토 에코 정도 되니 별책으로 출판이 가능한 것이 아닐까 싶네요...^^;;;
  • romeo 2010/08/18 07:25 # 삭제 답글

    안녕하세요? 링크를 따라오니 에코를 만나는군요. 저도 에코를 좋아해서 장미의 이름을 들고 다녔죠. 반가워서 인사 남깁니다. 전 전날의 섬을 아주 좋아하는데. 전날의 섬은 적혀있지 않아서 조금 섭섭하네요.;;
  • bonjo 2010/08/18 09:41 #

    반갑습니다. ^^
    [전날의 섬]은 아직 제가 읽지 못한 책입니다. 밀린 숙제처럼 남아있는 책이죠;;;
댓글 입력 영역